Java 77

[Java] continue, break / 배열(array) / if, for 문 응용

* continue / break + 라벨 - continue : 가까운 반복문 실행하지 않고 다음으로 넘김(남아 있는 것 실행) - break : 가까운 반복문 탈출(몇 번 남아있던지 상관 없이 탈출) - break 라벨 : 라벨명이 부여된 문장을 탈출 - continue 라벨 : 라벨명이 부여된 문장에서 이번만 넘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package day04; // continue : 가까운 반복문 실행하지 않고 다음으로 넘김(남아 있는 것 실행) // break : 가까운 반복문 탈출(몇 번 남아있던지 상관 없이 탈출) // break 라벨 : 라벨명이 부여된 문장을 탈출 // contin..

Java 2023.03.07

[Java] System.in.read() / Scanner / if ~ else if / 이중 for문 / printf / println

*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방법 > System.in.read() - system.in.read();는 직접 자판의 keycode 값을 처리해야 함 package day03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public class StatementTest13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 System.out.println("입력 : "); int value = System.in.read(); > 한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돌려줌 따라서, value -= 48; > 필요함 * 표준 출력 장치로부터 문자열 입력 받아 출력 > Scanner - 실제 정수/실수 등의 기본 타입으로도 입력받을 수 있음 - keyc..

Java 2023.03.06

[Java] 연산자(증감 / 산술 / Shift / 논리 / 비교 / 비트 / 논리 / 삼항 / 대입), 반복문(for문 / while문 / do~while문)

[ 연산자 ] - 자료 가공을 위해 정해진 방식에 따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얻기 위한 행위를 의미하는 기호들의 총칭 1. 증감 연산자 : ++, --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package day01; // 연산자 : 자료 가공을 위해 정해진 방식에 따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얻기 위한 행위를 // 의미하는 기호들의 총칭 // 1. 증감연산자 : ++, -- public class OperEx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..

Java 2023.03.03

[Java] 환경변수 설정 / Hello World / 변수(데이터)의 종류와 크기(byte, short, int, long, float, double, char, boolean)

* 환경변수 설정 * jdk 설치 > 자바의 소유가 오라클로 넘어갔기 때문에 오라클에서 받기 / 혹은 오픈소스로 받기 가능 * java 다운받은 후! 시스템 속성 – 고급 – 환경변수 들어가서 시스템변수-path-‘새로 만들기’에 ~~bin 경로 추가 그리고 시스템변수-CLASSPATH에 경로 . 추가 > javac.exe > javac -version cmd에서 위의 명령어로 확인 가능 * eclipse 다 되는 버전으로 다운 받은 후, 경로는 c:\dev\eclipse\workspace로 설정 * Hello Java 출력 > TestHello.java 파일을 생성 / TestHello 클래스를 작성 / "안녕하세요~~"라는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p..

Java 2023.03.02

[자바의 정석] #CH.3 연산자 operator - 3.1 연산자와 피연산자 / 3.2 단항 연산자

1. 연산자(operator) 1-1. 연산자와 피연산자 - 연산자(operator) :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- 피연산자(operatnd) : 연산자의 작업 대상(변수, 상수, 리터럴, 수식) > x+3이라는 식에서 '+'는 덧셈 연산자, 변수 x와 상수 3은 피연산자 >>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연산을 수행하고 나면 항상 결과값을 반환함 1-2. 식(式)과 대입연산자 - 식(式, expression) :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조합하여 계싼하고자하는 바를 표현하는 것 - 식을 평가(evaluation) : 식을 계산하여 결과를 얻는 것 > 하나의 식을 평가하면, 단 하나의 결과를 얻음 1 2 3 4 5 6 7 8 9 10 11 12 // x의 값이 5일 때, 4 * x + 3; // 작성한 식을 프로그램에 ..

Java 2023.02.01

[자바의 정석] #CH.2 변수 Variable - 2.5 형변환

5. 형변환 5.1 형변환(캐스팅, casting)이란? - 형변환 :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> int타입의 값과 float타입의 값을 더하는 경우, 먼저 두 값을 같은 타입으로 즉, 둘 다 float 타입으로 변환한 후에 더함 5.2 형변환 방법 - 형변환하고자 하는 변수나 리터럴의 앞에 변환하고자 하는 타입의 괄호를 함꼐 붙여줌 > (타입)피연산자 1 2 3 4 5 6 7 double d = 85.4; int score = (int)d; // double 타입의 변수 d를 int타입으로 형변환 int score = (int)85.4; // 변수 d의 값을 읽어 와서 형변환한다. int score = 85; // 형변환의 결과인 85를 변수 score에 저장 Colored..

Java 2023.01.18

[자바의 정석] #CH.2 변수 Variable - 2.4 기본형(primitive type)

4. 기본형(primitive type) 4.1 논리형 - boolean - boolean형 변수 : true와 false 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본값(default)은 false - boolean형 변수는 대답(yes/no), 스위치(on/off) 등의 논리구현에 주로 사용 - 1bit 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자바에서는 데이터를 다루는 최소단위가 byte이기 때문에 boolean의 크기가 1byte 1 2 boolean power = true; // power라는 boolean형 변수를 선언하고 true로 변수 초기화 boolean checked = False; //에러. 대소문자가 구분됨. true 또는 false만 cs > 자바에서는 대소문자가 구별되기 때문에 TRUE와 true는 다른 것으로 ..

Java 2023.01.18

[자바의 정석] #CH.2 변수 Variable - 2.3 진법

3. 진법 3.1 10진법과 2진법 - 사람은 일상 생활에서 주로 10진법을 사용하지만, 컴퓨터는 2진법을 사용함 - 전기가 흐르면 1, 흐르지 않으면 0 만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된 전기 회로에 2진법이 적합함 - 2진법은 0과 1로만 데이터를 표현하기 때문에 10진법에 비해 많은 자리수를 필요로 함 int age = 25; // 변수에 25를 저장 age 25 → age 11001 3.2 비트(bit)와 바이트(byte) - 비트(bit) : 한 자리의 2진수로, 컴퓨터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최소 단위 (binary digit) - 바이트(byte) : 1 비트 8개를 묶은, 데이터의 기본 단위 (=8 bit) - 워드(word) :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(=4byte) * ..

Java 2023.01.17

[자바의 정석] #CH.2 변수 Variable - 2.2 변수의 타입

2. 변수의 타입 - 변수의 타입은 저장할 값의 타입에 의해 결정된다. - 저장할 값의 타입과 일치하는 타입으로 변수를 선언 int age = 25; // int는 정수 타입 char ch = '가'; // char는 문자 타입 double pi = 3.14; // double은 실수 타입 * 기본형과 참조형 - 기본형(primitive type) > 오직 8개 : 논리형(boolean), 문자형(char), 정수형(byte, short, int, long), 실수형(float, double) 계산을 위한 실제 값을 저장. 모두 8개 실제 값을 저장함 - 참조형(reference type) : 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. 8개의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 > String(32bit JVM), System(..

Java 2023.01.16

[자바의 정석] #CH.2 변수 Variable - 2.1 변수와 상수

1. 변수(Variable) 1-1. 변수란(variable)란? :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1-2.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(1) 변수의 선언 이유 : 값(data)을 저장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(2) 변수의 선언 방법 변수타입 변수이름 ; int age ; // 정수(int)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(3) 변수에 값 저장하기 ① 변수에 값 저장하기 int age ; // 정수(int)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age = 25; // 변수 (age)에 25를 저장 int age = 25; // 위의 두 줄을 한 줄로 ② 변수의 초기화 -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int x = 0; // 변수 x를 선언 후, 0으로 초기화 int y = 5; // 변수 y를 선언 후, 5로..

Java 2023.01.12